
민간·공공·국가채권 통합관리로 채무자 중심 재기 지원을 강화합니다.
문창용 캠코 사장은 지난 6월, 2017 캠코 기자간담회에서 "체계적인 신용회복지원 제도를 활용하여 채무자 재기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간과 공공, 국가가 보유한 개인 부실채권을 통합 관리하여 사회적 비용은 줄이고, 다중 채무자의 경제활동 재기 지원을 돕는 캠코의 새로운 비전을 공유합니다.
캠코의 55년 역사는 한마디로 ‘대한민국 경제위기 극복사’였습니다. 캠코는 IMF외환위기, 카드대란, 글로벌 금융위기 등 국가적 경제위기 때마다 선두에서 위기를 정면돌파하는 ‘해결사’로서 위기극복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습니다. 국내 최초로 공적 신용회복지원제도를 도입하여 지금까지 258만명 금융소외자의 경제활동 복귀를 지원하였고, 국내 최초로 부실채권정리기금을 설치하는 등 대규모로 늘어난 금융회사 부실채권 총 185조원을 효율적으로 정리함으로써 금융회사의 건전성 제고에 기여해 왔습니다.

또한 부실채권정리기금이 보유했던 부실징후기업들의 대규모 M&A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경영정상화의 발판을 마련하는가 하면, 대우종합기계, 대우인터내셔널, 동아건설 등 국·공유재산 관리, 체납조세정리 등 공공자산관리를 통해 매년 약 1.7조원 규모의 재정수입을 거둬들였습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국가경제 위기 극복을 견인해 온 탄탄한 성공스토리를 토대로 향후 캠코가 가계, 금융, 기업, 공공부문을 아우르는 공적자산관리전문기관으로서 나아가야 할 방향과 비전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국가경제 위기 극복을 견인해 온 탄탄한 성공스토리를 토대로 향후 캠코가 가계, 금융, 기업, 공공부문을 아우르는 공적자산관리전문기관으로서 나아가야 할 방향과 비전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